728x90

소방기계공사

1. 적용범위

이 절차서(Technical Procedure)는 소방설비공사 중 기계시설의 배관 및 기구설비 공사를 수행하는데 적용한다.

2. 규격 및 기준

2.1 K.S

2.2 소방관련 법규

2.3 소방기계공사 표준 시방서

3. 책임과 권한

3.1. 시공책임자는 시공담당자와 함께 공사를 위해 필요한 모든 준비와 배관공사 전체에 대하여 지도관리할 책임과 권한을 가진다.

3.2. 시공책임자는 시공담당자와 함께 배관공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검사 및 조정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3.3. 시공담당자는 해당공정에 따른 검사와 다른 Part와 간섭되는 설계의 조정, 배관상세의 협의와 같은 기술적, 법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공자 및 감리자와 수시 협의하여야 한다.

3.4. 시공담당자는 압력을 Test 하기전에 시공의 완료여부, 배관표시, 계측, 조정 소손방지대책 기타 다른 요건들이 해당 시방서에 적합함과 품질을 입증하기 위해 감독관 입회하에 완성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3.5. 각종 시험 및 검사와 점검은 시공책임자 또는 시공담당자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

4. 배관일관

4.1 배관재와 부속품의 규격과 재질이 시방에 적합한 것인지를 확인할 것

4.2 용접절차와 용접공의 자격이 해당 작업에 적합함을 확인할 것(용접전 이물질 완전제거 등)

4.3 배관재별 배관방식이 제작자 시방 또는 발주자 시방에 적합한지 확인할것

4.4 관 절단은 기준에 적합한 공구를 사용하며 덧살 제거 및 관끝의 찌그러짐을 원래 상태로 복구하는지 점검할 것

4.5 용접후 용접부의 Slag와 기타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용접열이 완전히 식은후 시방에 따른 방청도장을 실시할 것

4.6 소화용기구 및 장비는 시공기사에 의해 그 기능이 적합하게 작동되는지가 증명되어야 하며 검사 및 시험결과는 시공담당자가 확인서명한 문서로 작성되어야 한다.

4.7 건식 소화배관인 경우 사용 및 시험후 배관내의 물을 모두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배관되어야 한다.(자동 드레인 변취부 등)

4.8 모든 배관이 완료된 후 수압시험 전에 배관방식과 재질의 적합 여부를 점검하고 수압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며 수압시험 전후의 결과가 시공담당자가 확인서명한 문서로 작성되어야 한다.

5. 옥외 매설 배관

5.1 옥외 매설 배관의 재질은 비부식성 또는 부식방지 피복을 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 전에 Pipe와 부속품에 크렉이나 눈에 띄는 어떤 손상이 없는지 검사하여야 한다.

5.2 동결방지를 위한 매설 깊이가 시방에 적합하여야 하며 열전도에 의한 동결방지를 위해 구체와의 접촉부도 시방에 적합한 보온이 이루어져야 한다.

5.3 필요한 경우 제작자가 건의하는 자재사용과 설치방법을 재확인할 것

5.4 압력시험 전에 배관의 앙카, 써포트, 신축접수 등의 기능이 시방내용에 적합하게 설치되었는지를 점검하여야 한다.

5.5 압력시험 후 시방에 적합한 Coating과 Wrapping이 실시되었는가를 검사하고 사진촬영과 부동점으로부터 배관위치를 정확히 실측, 도면에 기록하여 효과적인 사후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5.6 되메우기 작업 시 국소적으로 배관에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단단한 물질이 배관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되메우기 완료후 다짐을 실시한다.

6. 기계실 배관

6.1 배관의 자중이 장비류에 가해지지 않도록 견고히 지지되어야 하며 장비의 진동, 소음등이 배관이나 지지철물 및 구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배관되어야 한다.

6.2 배관이 장비의 작동,점검,보수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하며 Valve 작동과 각종 계기 감시에 장애가 되지 않아야 한다.

6.3 소화용 모든 배관과 장비, 수조 밸브 및 기타의 소방시설은 용도에 따라 적절한 구분표시가 되어야 한다.

6.4 누수의 가능성이 있는 배관 하부에는 장비의 배치를 지양하여 누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6.5 소화용 펌프의 흡입배관은 펌프내에 상시 물이 충만되어 있을 수 있고 배관내에 공기모임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펌프 1차측 보다 수위가 낮을 경우 물올림 탱크 등의 조치)

6.6 소화용 펌프 주위배관은 펌프의 순간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큰 충격과 진동 및 소음에 충분히 견디고 감쇄시키며 배관이나 견물로 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수격방지기 취부 및 벨로우즈형 후렉시블 이음등)

6.7 소화용 주펌프 및 충압펌프의 작동압 설정은 실제로 소화시설이 사용될 때가 아니고는 충압 펌프만 작동하도록 설정하여야 하며 설정된 압력에 따라 효과적이고도 원활하게 펌프가 On-Off 되어야 한다.

6.8 소화용수 흡입구는 일반급수용 물을 모두 사용하여도 벌벙 소화용수가 확보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7. 입상 세대내 배관

7.1 배관재의 재질과 규격이 시방서 및 도면의 내용과 동일한다를 점검한다.

7.2 입상배관은 매층마다 고정되어야 하며 횡주관은 시방에 적합하게 지지되어야 한다.

7.3 입상배관 및 소화용 자동밸브는 완전배수가 가능하고 동파의 위험이 없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7.4 스프링클러의 배관은 소방관련 법규와 시방에 적합하며 소화활동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7.5 소화용 자동밸브 및 기타소방시설을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과 점검문이 설치되어야 한다.

8. 소화용 기구

8.1. 스프링클러 해드의 유형별 선택은 시방에 다라야 하며 해당 소방대상물의 해드 유효반경 내에 포함여부와 설치높이를 소방관련법규 및 천정 마감높이를 참조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8.2. 시험밸브함의 위치와 내장물이 설계도서에 적합하고 개폐 및 시험이용

8.3. 알람밸브와 알람S/W는 점검이 용이하도록 설치되고 알람밸브 점검구라고 표시된 충분한 크기의 점검구를 갖추어야 하며 Valve작동상황을 방재반에서 감시할 수 있는 System이어야 한다.

8.4. 소화전과 Box, 소화기구함은 법규에 부합되고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화재시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되어야 하고 호스와 노즐은 반출이 용이한 상태로 준비되어야 한다.

8.5. Preaction Valve는 제작자 시방을 참조하여 배관하고 기능이 수동/자동 모두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하여야 하며 그 작동상황이 방재반에서 확인 가능한 System이어야 한다.

8.6. Preation Valve는 그 사용방법이 개시되어야 하고 동파로 부터 적절히 보호되어야 하며 법규에 적합한 실을 설치하여야 한다.

8.7. 연결송수구와 본관사이에 중간밸브 유무와 자동배수밸브설치, 송수구 용도와 명판내용의 일치, 부착의 견고함 등이 점검되어야 한다.

8.8. 소화기(확산형.ABC,자동형)등 시방에 적합한 제품을 지정된 장소에 비치한다.

9. 상수도 소화시설

9.1. 상수도 소화시설은 분지점(계량기 전 또는 후)에 따라 시공주체가 달라지므로 사전에 협의 결정하고 수도계량기 후에서 분기하는 경우 별도의 수량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9.2. 소방대상물이 옥외소화전의 유효반경내에 모두 포함되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30M)

9.3. 상시 충수되어있는 부위는 동결선 이하에 매설하여야 하며 밸브 개폐공구와 맨홀뚜껑을 비치하여야 한다.

9.4. 상수로 소화전은 외압에 견딜수 있도록 견고히 고정되어야 한다.

10. 시공검사 기준

10.1. 시공책임자는 시공담당자와 함께 검사 기준서에 준해 검사를 시행한다.

10.2. 검사를 시행함에 있어 CHECK LIST를 이용해 기록하고 품질기록관리 절차서에 따라 유지 관리한다.

10.3. 부적합 사항은 부적합품관리 절차서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문서 및 자료 > 【 문서참고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공사지침서  (0) 2010.06.21
산학자문 협정서  (0) 2010.06.20
제품 환경영향평가 배점기준표  (0) 2010.06.19
맛어묵생산지침서  (0) 2010.06.18
가스공사  (0) 2010.06.15
728x90

제품 환경영향평가 배점기준표

제품 환경영향평가 배점기준표
[0][1][3][5]
유독성-일반화학물질유독물 포함특정유독물
(제품자체) 포함, 배출배출포함, 배출
운송방법-철도 이용자동차 이용해상, 항공
(출 하)   이용
재활용 비율90% 이상60 ~ 90% 미만30 ~ 60% 미만30% 미만
(폐기시)재활용 가능재활용 가능재활용 가능재활용 가능
에너지 효율X < 1X = 11 < X ≤ 1.5X > 1.5
소음(dB)50 미만50 ~ 80 미만80 ~ 90 미만90 이상
(사용시)    
환경오염 토양, 대기, 수질토양, 대기, 수질토양, 대기, 수질
(사용/폐기시) 중 1곳과 관련중 2곳과 관련모두 관련
유독성-일반화학물질유독물 포함,특정유독물
(최종폐기) 포함, 배출배출포함, 배출
평가대상 제품의 소비전력량
* 에너지 효율 평가 =Bitmap
기준제품의 소비 전력량
* 기준제품 : 용량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한 자사 및 타사 제품
*재활용 비율:Bitmap Bitmap Bitmap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무게의 총 중량
제품 총 중량

'문서 및 자료 > 【 문서참고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학자문 협정서  (0) 2010.06.20
소방기계공사  (0) 2010.06.19
맛어묵생산지침서  (0) 2010.06.18
가스공사  (0) 2010.06.15
토공 및 기초공사 체크리스트  (0) 2010.06.14
728x90

맛어묵생산지침서

A. 작성, 검토 및 승인

󰍽 문서 식별

󰏅 관 리 본

Q P -

󰏅 비관리본

관리처 :

󰍾 본 품질지침서는 KA의 품질경영 방침에 따라 다음 책임자에 의해 작성(개정), 검토 및 승인이 되어야 효력이 있다.

구 분

부 서 명

직 책

성 명

서 명

일 자

작성(개정)

생산부

생산2과장

04. 04. 01.

검 토

생산부

부 서 장

04. 04. 01.

승 인

품질경영대리인

04. 04. 01.

󰍿 합 의

부 서 명

관리부

품질개발실

영업부

성 명

서 명

일 자

04. 04. 01.

04. 04. 01.

04. 04. 01.

󰎀 회 람

성 명

서 명

일 자

성 명

서 명

일 자

B. 목차 및 개정 현황

번호

개정일자

개정내용

Rev.1

Rev.2

Rev.3

Rev.4

Rev.5

Rev.6

Rev.7

Rev.8

Rev.9

Rev.10

1. 목적

본 지침서는 KA의 제품 생산에 관련된 작업방법을 정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본 지침서는 맛어묵 제품 생산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책임과 권한

3.1. 생산2과장

3.1.1. 당일 생산량을 지시하고 생산 감독한다.

3.1.2. 관리지표를 작성한다. (생산성, 수율, 불량율)

3.1.3. 공정관리일지 확인

4. 업무절차

4.1. 생산준비

4.1.1. 제조설비는 작업반장이 작업전, 작업중에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제조설비점검일지(첨부 3)를 작성한다.

4.1.2. 생산과장은 생산계획에 따라 작업팀(자)별로 1일 작업량을 할당한다.

4.1.3. 작업량은 메모지에 작성하여 작업팀(자)에 작업을 지시한다. 일부 작성되지 않은 내용은 구두로 설명. 지시한다.

4.1.4. 생산에 필요한 원료는 생산지시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전에 수량을 확인하고, 부족수량에 대한 자재는 출고요청서를 작성하여 자재관리자에게 출고를 요청한다.

4.1.5. 생산과장은 원료육 품목별 상태 및 날짜. 등급 확인하고 사용에 적합한 자재인지 확인하여야 한다.

4.2. 생산작업

4.2.1. 작업자는 배합기준서에 의한 원료의 배합을 한다. 배합에 대한 작업은 모두 배합기준 지침서에 따른다.

4.2.2. 배합된 원료는 성형반으로 이송하여 성형표준에 의한 성형을 실시한다. 배합 작업 후 원.부재료 사용일지를 작성하여 재료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4.3. 맛어묵 생산

4.3.1. 원 료 ; 배합기준서에 따라 배합된 원료를 튀김반으로부터 받는다.

4.3.2. 조 미 액 ; 조미액(국물)을 준비한다.

조미액은 300 kg짜리를 2 B/T(600kg)씩 준비한다

4.3.3. 조미액 원료는 다음 성분과 같다. (1 batch 기준)

원료

중량

비고

1

멸치

1.2kg

2

타이미

900g

3

다시마

750g

4

간장

2.1kg

5

무우

3.75kg

6

xx kg

4.3.4. 평 량 ; 제품을 중량(350g 이상)과 개수에 맞게 용기에 넣는다.

(1) 사각 4EA

(2) 별 3EA

(3) 환 3EA

(4) 감자묵 1EA

4.3.5. 기 계 ; 원료와 제품을 혼합한 완전한 제품을 생산한다.

4.3.6. 살 균 ; 기계에서 생산된 제품을 85℃-20분 동안 살균처리 한다.

4.3.7. 냉 각 ; 살균 처리된 제품을 10℃이하의 냉각수로 냉각을 한다.

4.3.8. BOX 포장 이전에 제품의 이상유무를 검사하고 이에대한 기록을 공정관리일지(첨부 2)에 기록한다.

4.4. 포장

4.4.1. 생산된 제품을 규격에 맞게 포장한다.( BOX / 24EA )

4.4.2. 제품의 실링상태와 중량을 확인한다.

4.4.3. 성형작업이 완료되면 생산된 제품은 박스 포장을 실시한다. 포장시는 다음 내용을 확인한다.

(1) 성형 불량 선별하여 포장

(2) 중량 확인 및 수량 확인

(3) 갯수 단위 포장 (품명 및 제조일자 기입)

4.4.4. 불량품은 부적합제품 관리절차에 따라 처리한다.

4.5. 보관관리

4.5.1. 포장이 완료된 제품은 1시간 이내에 제품창고로 운반하여 보관관리 되어야 한다.

4.5.2. 모든 맛어묵 제품은 냉장 보관한다.

4.5.3. 제품창고에 입고한 수량은 출고 담당자가 제품수불대장에 기록하는지 확인을 하여야 한다.

5. 품질기록

본 지침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 발생되는 기록은 기록관리 지침서(문서번호 : QP-403)에 따라 기록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기 록 명

양식 번호

보존년한

보관부서

공정관리일지

QI-E102-1

3년

생산2과

제조설비 점검일지

QI-E102-2

QI-E102-3

6. 관련문서

6.1. 공정관리 절차서 (문서번호 QP-707)

6.2. 기록관리 절차서 (문서번호 QP-403)

6.3. 부적합제품관리 절차서 (문서번호 QP-804)

7. 첨부

7.1. 원부재료 사용일지 (첨부 1)

7.2. 공정관리일지 (첨부 2)

7.3. 제조설비 점검일지 (첨부 3)

'문서 및 자료 > 【 문서참고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기계공사  (0) 2010.06.19
제품 환경영향평가 배점기준표  (0) 2010.06.19
가스공사  (0) 2010.06.15
토공 및 기초공사 체크리스트  (0) 2010.06.14
판매업무절차서  (0) 2010.06.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