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넷)
위험성 평가대상 목록 (건축물 전기공사) |
결
재 |
작 성 |
검 토 |
승 인 |
|||||
|
|
|
|||||||
공 사 팀 |
|||||||||
순 서 |
평가대상․공정 |
위험성평가서 No |
순 서 |
평가대상 작업 ․ 공정 |
위험성평가서 No |
||||
1 |
슬라브 배관작업 |
2 - 1 |
|
|
|
||||
2 |
옹벽 배관작업 |
2 - 2 |
|
|
|
||||
3 |
벽체(조적) 배관작업 |
2 - 3 |
|
|
|
||||
4 |
배선 작업 |
2 - 4 |
|
|
|
||||
5 |
TRAY 설치작업 |
2 - 5 |
|
|
|
||||
6 |
케이블 설치작업 |
2 - 6 |
|
|
|
||||
7 |
등기구 및 기구부착작업 |
2 - 7 |
|
|
|
||||
8 |
수배전반 설치작업 |
2 - 8 |
|
|
|
||||
9 |
가설전기작업 |
2 - 9 |
|
|
|
||||
10 |
동력간선작업 |
2 - 10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1 |
위험성 평가서 |
결
재 |
승 인 |
|
타당성 검토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검 토 |
|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작 성 |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1] |
슬라브 배관작업 |
|
|
|
|
|
|
|
|
|||||
1-1 |
배관자재운반 |
(추락)단부주위안전난간및자재 인양구추락방지조치미흡 |
2 |
4 |
안전난간설치및추락위험에 관한작업자안전교육 |
2 |
4 |
8 |
|
|||||
|
|
(낙하)인양작업시 사클체결 미숙으로 인양물 낙하 |
2 |
3 |
사클의 머리핀은 하늘방향으로 체력 |
2 |
3 |
6 |
|
|||||
1-2 |
작업장소 자재 정리정돈 |
통행중 배관된 철근사이에 발이 걸려 넘어짐 |
2 |
2 |
배관자재의정리정돈및통로부위를합판등으로안전통로확보 |
2 |
2 |
4 |
|
|||||
1-3 |
배관작업 |
개인장비착용 (특히 작업화로 인한 못에 발이 꽂임) |
2 |
4 |
개인보호구착용(안전대착용 및 작업화 바닥 두꺼운 것 착용) |
2 |
4 |
8 |
|
|||||
|
|
(낙상)개구부덮개 미흡 및 해제시 낙상위험발생 |
2 |
4 |
개구부덮개 및 위험표시판 설치 |
2 |
4 |
8 |
|
|||||
|
|
(전도)배관 작업 시 작업자의 진행방향을 후진방향 으로하여 전도 |
2 |
3 |
배관작업시 진행방향은 전진 방향으로 뒷걸음방지 |
2 |
3 |
6 |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2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2] |
옹벽배관작업 |
|
|
|
|
|
|
|
|
|
2-1 |
고소(2개이상)배관작업 |
(추락)적절한작업발판을 설치하지않고옹벽철근에매달려작업중추락 |
2 |
4 |
철근에매달려작업금지관리감독 작업발판을설치하고2개이상설치시추락방지조치 |
2 |
4 |
8 |
|
|
|
|
고소작업시안전대미착용 |
2 |
3 |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 작업시 안전대착용 |
2 |
3 |
6 |
|
|
2-2 |
작업장소 주변 정리정돈 |
주변정리정돈미시실로인한 형틀등 장애물에 걸려 넘어짐 |
2 |
2 |
작업높이를 고려하여안전한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 |
2 |
2 |
4 |
|
|
|
|
작업발판설치장소 협소로 형틀거푸집을 밝고 작업중 추락 |
2 |
3 |
안전기준에 적합한 작업발판설치 |
2 |
3 |
6 |
|
|
|
|
노말작업시 화재 폭팔 위험 |
2 |
3 |
토치램프사용시 소화기 비치 및 주위 인화성 물질 제거 |
2 |
3 |
6 |
|
|
|
|
|
|
|
|
|
|
|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3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3] |
벽체(조적) 배관작업 |
|
|
|
|
|
|
|
|
|
3-1 |
조적할석작업 |
안전모 보안경 미착용으로 작업 중 할석비산 |
2 |
4 |
안전모 보안경 등 개인보호구 착용하고 작업 실시 |
2 |
4 |
8 |
|
|
|
|
전기기계기구 사용 중 감전 위험 |
2 |
4 |
전기 기계기구 사용 시 감전 방지조치 점검 (절연피복 이상유무) |
2 |
4 |
8 |
전기기계사용시 감전방지조치 -기계기구 외함에 절연상태이상유무점검 -이중절연구조의 제품상요및 절연조치 -꽂음접속기 연결상태 확인 및 절연조치 이상유무점검 |
|
3-2 |
조적노출 배관작업 |
해머드릴을 이용할 할석 작업 중 파쇄물 비산 |
3 |
2 |
작업 시 안전모 마스크 보안경 착용 |
2 |
2 |
4 |
할석 작업시 작업방향에 근로자가 있지 않도록하고 작업자는 작업방향에 90도이상 비켜서서 작업 |
|
3-3 |
노말 작업 |
노말 작업시 작업부주의로 화재 화상 발생 |
2 |
3 |
주위 가연성 인화성물질제거 및 작업중 흡연금지 |
2 |
3 |
6 |
토치램프 사용 시 안전수칙 준수 -단위작업종료후 SW off시킬것 -토치와 용기의 결합은 가스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설치 -소화기 비치 및 사용법 숙지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4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4] |
배선작업 |
|
|
|
|
|
|
|
|
|
4-1 |
2인이상공동작업 |
2인이상 공동작업중 무리한 작업에 따른 부상 |
2 |
3 |
배선작업시 안전모,안전대등 개인보호구착용철저 |
2 |
2 |
4 |
2인이상 공동작업시 작업전 작업방법순서, 신호체계를 주지시키고 작업위치지정 |
|
|
|
전선 및 안내선을 펼쳐놓고 작업중 발이나 신체에 걸려 전도 |
3 |
2 |
배선작업시 수시로 전선및안내선 정리정돈 실시 |
3 |
2 |
6 |
작업전 작업부위 반경내 돌출된 못 제거후 작업실시 |
|
4-2 |
필요시 이동식 비계의 설치 |
안전난간대 및 승하강용 사다리 미설치 |
2 |
3 |
발판은 2개소 이상 고정하고 발판간의 틈은 3㎝이내로설치 |
2 |
3 |
6 |
이동시 비계는 검정품을 사용하고 안전기준에 준하여 사용 |
|
|
|
작업발판고정 조치 미흡 |
2 |
3 |
2단이상 설치 사용시 전도방지 장치 설치 |
2 |
2 |
4 |
|
|
4-3 |
사다리에 의한 인입작업 |
고소작업시 발판대용으로 사라디 작업중 추락 |
2 |
4 |
사다리이용작업시 2인1조 작업 다리부러짐 미끄럼방지 |
2 |
3 |
6 |
사다리는 승하강용으로 사용 및 전구교체등 간단한 작업에만 사용 |
|
|
|
사다리각도가 급하여 승하강시 사다리 전도 추락 |
3 |
3 |
사다리기둥과 지면과의 가도는 75도 이내로 설치 |
3 |
3 |
9 |
작업중 사다리 위치를 변경하여 작업 등 사다리를 등지고 작업금지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5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5] |
트레이 설치작업 |
|
|
|
|
|
|
|
|
5-1 |
핸드 그라이더 사용 |
덮개해체사용으로 손가락 절단 숫돌 교체시 오조작에 의한 손가락절단 |
2 |
4 |
법정보호장치설치 및 해체사용금지 숫돌교체시기준수및사용전점검실시 |
2 |
4 |
8 |
안전모,보안경등 개인보호구착용 숫돌교체시기 준수 및 사용전 이상유무점검 |
|
|
누전차단기 미설치 및 전선피복의 이상으로 감전 |
2 |
4 |
누전차단기에서 인출 및 접지실시 보안경등 개인보호구 착용 |
2 |
3 |
6 |
누전차단기에서 인출 및 접지사용 숫돌의 옆면을 이용하여 가곡작업금지 |
5-2 |
고속절단기사용 |
덮개해체사용으로 손가락절단 불티비산방지조치 미흡 화재위험 |
2 |
4 |
법정보호장치설치 및 해체사용금지 불티 비산방지 조치 |
2 |
4 |
8 |
법정방호장치설치 및 해체사용금지 누전차단기설치 및 작업전선을 가공으로 설치 |
|
|
숫돌의옆면을 이용하여 가공 작업 중 숫돌파괴 누전차단기 미설치로 감전 |
2 |
3 |
숫돌의 교체시기 준수및사용전점검 작업전선을 가공으로 설치함 |
2 |
3 |
6 |
|
5-3 |
트레이고정작업 |
트레이를 고정용 앙카볼트의 고정상태 불량으로 인한 탈락, 작업자의 재해발생 |
2 |
3 |
드릴작업시 규격에 맞는 드릴을 사용하여 작업중 고정여부확인 |
2 |
3 |
6 |
드릴작업시 규격에 맞는 드릴을 사용하여 작업전 고정여부 확인 |
|
|
작업장 조도 미흡 |
2 |
2 |
작업장 적정 조도 상태 유지(75lx) |
2 |
2 |
4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6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6] |
케이블포설작업 |
|
|
|
|
|
|
|
|
|
|
|
케이블드럼에서 풀리중 협소한 장소에서의 협착사고 |
2 |
3 |
케이블포설시 케이블풀링 경우 충분한 작업공간 사전 확보 |
2 |
3 |
6 |
중량물취급시 하영운반기계사용 경사면에서 중량물취급시는 반드시 받침목을 사용 드럼의 구름을 방지 |
|
|
|
케이블 포선구간의 바닥 돌출물에 걸려 넘어짐 |
2 |
2 |
케이블포설구간내 장애물제거및 작업공구등 정리정돈후작업 |
2 |
2 |
4 |
|
|
|
|
트레이 상단에서 케이블 포선시 작업발단불안정으로 추락 |
2 |
4 |
안전한 작업발판이라도 무리한 작업을 제거 추락 예방 |
2 |
4 |
8 |
트레이에 포설작업시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트레이에 올라서 작업금지 |
|
|
|
케이블드럼이 경사면에서 불시 이동하여 작업자 협착 및 충돌 |
2 |
4 |
구름멈춤대등을 이용하여 드럼의 구름을 방지 |
2 |
4 |
8 |
|
|
|
|
작업자간 신호 미흡으로 과도한 풀링중 재해발생 |
2 |
4 |
2명이상 취급 및 운반시 작업전 신호체계확립 |
2 |
4 |
8 |
|
|
|
|
|
|
|
|
|
|
|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7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7] |
등기구 및 기구취부작업 |
|
|
|
|
|
|
|
|
|
|
|
등기구의 경선 작업 시 오결선에 의한 혼촉으로 화재사고 |
2 |
3 |
각 선로 표시 또는 전선의 색을 구분하여 혼촉 방지 |
2 |
3 |
6 |
결선작업시 오결선이 되지 않도록 각 선로 표시 또는 전선의 색을 구별토록 조치하여 혼촉 방지 |
|
|
|
작업중인 분전반의 조작반개방으로 인해 임의의 오조작 사고 |
2 |
3 |
조작반은 관리책임자를 지정 작업중임 표시, 잠금장치 |
2 |
3 |
6 |
해당 개폐기 차단후 잠금장치 및 통전 금지 표지판 설치 |
|
|
|
써클 드릴 등 전동공구 사용 중 드릴부위에 옷깃이 감겨 안전사고발생 |
2 |
3 |
전동공구 덮개설치 및 해체 사용 금지 |
2 |
3 |
6 |
|
|
|
|
등기구 교체 점검시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부 접촉감전 |
2 |
4 |
등기구 교체 작업시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정전 작업 실시 |
2 |
3 |
6 |
등기구의 설치(교체) 작업시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정전작업을 실시 |
|
|
|
등기구 취부중 천정자재 탈락으로 하부작업자에 머리로 낙하 |
2 |
4 |
등기구 설치시 천정자재의 고정상태 점검후 작업 |
2 |
3 |
6 |
|
|
|
|
|
|
|
|
|
|
|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8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3.10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8] |
수배전반 설치 |
|
|
|
|
|
|
|
|
|
|
|
케이블 단말 작업시 압착공구 등에 의한 부상 위험발생 |
2 |
3 |
판낼 내부에서 작업 시 머리보호를 위한 안전 |
2 |
3 |
6 |
안전관리자책임관리 |
|
|
|
단말처리 작업 중 오결선에 의한 통전 시 혼촉 및 오동작 |
2 |
3 |
단말처리 작업 시 오결선 방지를 위해 각 선로마다 마킹 표시 |
2 |
3 |
6 |
|
|
|
|
분전반 점검 및 시험운영 중 스파크에 의한 화재 |
2 |
2 |
분전반 점검, 운영 시 충전부 전기 스파크에 의한 화재예방, 인화성 물질 격리 |
2 |
2 |
4 |
|
|
|
|
변압기설비를 통전 운전시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 감전 |
3 |
3 |
특별고압설비의 감전 방지를 위해 출입통제 조치 및 위험표지 설치 |
3 |
3 |
9 |
|
|
|
|
전기 기계기구 등의 충전부 방호 조치 미흡으로 감전사고 발생 |
3 |
4 |
변전실 개폐소등 구획되여 있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하고 위험표시등 방호 강화 |
3 |
3 |
9 |
|
|
|
수변전실관리 |
안전휀스설치및위험표시판미설치 |
3 |
3 |
안전휀스및위험표시판설치(접근금지/위험표지) |
2 |
3 |
6 |
|
|
|
|
변압기등각종계전기의접지미설치 |
3 |
3 |
변압기등각종계전기의접지설치(누전방지) |
2 |
3 |
6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9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9] |
가설전기사용 |
|
|
|
|
|
|
|
가설 전기 사용 시 준수사항 - 각 분기 회로별로 차단기를 통하여 전원 인출 사용 - 접지시설은 각 회로마다 구성 되고 분전함은 외함 접지 또는 절연구조 여부 확인 - 누전차단기 설치 및 작동상태 점검 후 사용
|
|
|
|
작업자가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 전선 연결 작업 중 감전 |
2 |
3 |
|
2 |
3 |
6 |
||
|
|
정전작업시 작업자 부주의로 감전 작업선 피복 절연파손으로 인한 감전 |
2 |
4 |
정전 작업 시 정전 안전수칙을 준수 할 수 있도록 특별안전교육실시 |
2 |
4 |
8 |
||
|
|
불량 꽂음 접속기 사용으로 감전 |
2 |
3 |
콘센트플러그는 검정제품사용하고 파손여부확인 |
2 |
3 |
6 |
||
|
|
습한곳에서 방수 성능이 부족한 전선 사용으로 누전 |
2 |
3 |
습한 장소 가설전선 사용 시 방수성이 높은 제품 사용 |
2 |
3 |
6 |
||
|
|
가설분전반의 누전차단기를 통하지 않는 전원 인출 시 감전 |
3 |
3 |
가설분전반은 누전차단기를 통한 전원 인출 사용 |
3 |
3 |
9 |
||
|
|
외함 시건장치 미설치로 임의조작으로 안한 감전 |
3 |
3 |
회함에 시건장치를 설치하고 전기 담당자에 의해 조작토록 조치 |
3 |
3 |
9 |
||
|
|
콘센트 미설치로 분전함 내부에서 전선 인출 중 감전 |
2 |
3 |
콘센트를 외함에 설치 내부에서 전기를 인출하지 않도록 조치 |
2 |
3 |
6 |
||
|
|
충전부 내부 보호판 미설치로 조작 중 충전부에 감전 |
3 |
3 |
충전부 내부 보호판 설치로 충전부 접촉에 의한 재해예방 |
3 |
3 |
9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2-10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건축물전기공사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10] |
동력간선작업 |
|
|
|
|
|
|
|
정전 작업 요령에 포함될 사항 1. 작업책임자 지정 2. 정전범위 3. 절연용보호구 점검 및 활선 접근 경보기 휴대등 준비 4. 정전작업수칙(접지-방전-검전) 5. 개폐기 관리 및 표시판 부착 6. 단락접지실시 7. 전원 재투입 수서에 관한 사항 8. 점검 또는 시운전을 위한 일시 운전에 관한사항. |
|
|
|
감전 : 고압활설작업시 안전수칙 미준수 작업시 활선용장비 미사용으로 인한 감전 |
2 |
4 |
절연모,절연장갑,휴대용검전기등 착용 cos조작봉,활선접근경보기등 장비사용 |
2 |
3 |
6 |
||
|
|
접촉위험이 있는 고압선로의 방호관 미설치로 접촉 감전 |
|
|
접촉위험이 있는 고압선로에는 방호관 설치 |
2 |
4 |
8 |
||
|
|
활선 및 활선 근접 작업시 감독자 미 입회 작업중 감전 |
|
|
고압 활선 작업시 감독자를 배치하여 지휘 감독 하에 작업 |
2 |
3 |
6 |
||
|
|
변대 승탑 작업중 정전작업 수치 미준수로 인한 감전 |
|
|
변대 승탑 작업 시 작업수칙 준수 (접지-방전-검전) |
2 |
4 |
8 |
||
|
|
2차측 작업중 1차측 특고압 활선 충전부 접촉 |
|
|
2차측 작업시 1차측 특고압 활선 충전선로와 접근 한계거리 이상을 유지 |
2 |
4 |
8 |
||
|
|
|
|
|
|
|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성 평가 등록대장 |
결 재 |
작성 |
검토 |
승인 |
||||||
|
|
|
||||||||
(건축물정비공사) |
||||||||||
공 종 / 작 업/ 활 동 분 류 |
위험성 평가 점수 |
위 험 요 인 |
관 리 계 획 |
비 고 |
||||||
번호 |
공 종 명 |
작 업, 활 동 |
||||||||
1 |
슬라브배관 |
배관자재운반 |
8 |
추락:단부주위 안전낙간 및 자재 인양구 추락 방지조치 미흡 낙하:인양 작업시 사클 체결 미숙으로 인양물 낙하 |
작업발단 및 통로 끈이나 개구부 안전난간, 울, 손잡이를 서치 안전장구(특히 안전대) 착용 사클 체결시 사클의 머리핀은 하늘 방향으로 체결 |
|
||||
2 |
" |
배관작업 |
8 |
부상:작업중 바닫의 못에 작업자 발이 찔림 낙상:개구부 덮개 부실설치 및 해체시 낙상 위험 발생 |
개인보호구 착용(작업화는 바닥이 두꺼운것 착용) 합판 등 개구부 덮개 설치 및 위험 표식판 설치 |
|
||||
3 |
" |
고소배관작업 |
8 |
추락:적절한 작업발판 미설치 옹벽 철근에 배달려 작업 고소작업시 안전대 미착용 |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2m이상 높이 설치시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손잡이 설치로 방호조치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시 안전대 필히 사용 |
|
||||
4 |
조적벽채배관 |
조적할석작업 |
8 |
부상:안전모,보안경,미착용으로 작업중 활석비산감전:전기드릴 사용중 감전 위험 |
안전모, 보안경 등 개인 보호구 착용후 작업 전기기계기구 사용시 절연 피복 이상 유무 점검 |
|
||||
5 |
배선작업 |
사다리이용 인입작업 |
9 |
추락:고소 작업시 발판대용으로 사다리 사용 중 추락 사다리 각도가 급하여 승하강시 사다리 전도 추락 |
사다리 작업시 2인1조 작업(사다리 버러짐, 미그럼 방지) 사다리 기둥과 지면과의 각도는 75도 이내로 유지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성 평가 등록대장
(건축물정비공사)
공 종 / 작 업/ 활 동 분 류 |
위험성 평가 점수 |
위 험 요 인 |
관 리 계 획 |
비 고 |
||
번호 |
공 종 명 |
작 업, 활 동 |
||||
6 |
TRAY 설치작업 |
핸드그라인더 사용 |
8 |
누전차단기 미설치 및 전선 피복의 손상으로 감전 숫돌 교체 시 오조작에 의한 손가락 절단 |
누전차단기에서 전원 인출 및 접지 후 사용 숫돌의 교체 시기 준수 및 사용 전 점검 실시 |
|
7 |
" |
고속절단기 사용 |
8 |
절단기 보호커버 해체사용으로 손가락절단 불꽃비산방지조치 미흡으로 화재 |
법정 방호장치 조치 및 해체 엄금(작업 전 안전교육) 보안경 착용 및 인화물질 제거, 소화기비치 |
|
8 |
케이블포설 작업 |
케이블드럼 풀링작업 |
8 |
케이블드럼이 경사면에서 드럼받침대 설치 미흡 으로 작업자 협착 케이블 풀링중 협소한 공간에서 협착사고 |
중량물 취급 시 가능한한 하역 운반기계 사용 작업 경사면에 드럼 구름 받침목은 중량을 감안하여 받침목 설치케이블 풀링 시 제반여건을 감안하고 최대한 작업공간을 확보 후 작업 실시 |
|
9 |
수배전반 설치작업 |
단말처리작업 |
8 |
단말처리 작업 중 오결선에 의한 통전시 혼촉 및 오동작 케이블 단말 작업시 협소한 공에서의 충돌 |
단말 처리작업 시 오결선 방지를 위해 각 선로마다 마킹 케이블결선 및 공구 사용 시 주변 돌출부에 충돌하지 않도록 작업 자세에 주의 |
|
10 |
" |
변전실관리 |
9 |
변압기설비 통전 운용시 작업자 신체에 접촉 감전 전기기계기구의 충전부 방호조치미흡으로 감전사고 |
특고압설비의 점검, 수리작업시는 감전 위험을 방지하기위해 충전전로 접근한계거리에 표시판(위험)설치 변전소, 개폐소 등 구획되여있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하고 위험표시 등 방호강화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성 평가 등록대장
(건축물정비공사)
공 종 / 작 업/ 활 동 분 류 |
위험성 평가 점수 |
위 험 요 인 |
관 리 계 획 |
비 고 |
||
번호 |
공 종 명 |
작 업, 활 동 |
||||
11 |
가설전기사용 |
|
8 |
정전 작업 시 작업자 부주의로 감전 작업선 피복 절연 파손으로 인한 감전 |
가설 전기 사용 시 중점 관리 계획의 준수 각 분기 화로별로 차단기를 통하여 전원 인출 사용 접지설비는 각 회로마다 구성하고 분전함은 외함접지 또는 절연구조 여부 확인 점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작동 상태 점검 후 사용
|
|
12 |
" |
|
9 |
가설분전반의 누전차단기를 통하지 않고 전원 인출로 인해 감전사고 외함 시건장치 미설치하고 임의조작으로 감전 |
|
|
13 |
" |
|
9 |
충전부 내부 보호판 미설치로 조작 중 충전부에 감전 |
|
|
14 |
동력간선작업 |
|
8 |
고압 활선작업 시 안전수치 미 준수 활선 작업 시 활선장비 미사용으로 인한 감전 |
절연모, 절연장갑, 휴대용 검전기 착용 cos조작봉, 활선근접경보기, y35등 장비사용작업 |
|
15 |
" |
|
8 |
변대 승탑 작업중 정전작업수치 미준수로 인한 감전 변압기 2차측 작업 중 1차측 특고압 활선 충전부 접촉, 감전사고 |
변대 승탑작업 시 정전작업 안전수칙준수(접지-방전-검전) 2차측 작업 시 1차측 특고압 활선 충전선로와 접근 한계거리 이상(30cm)유지하여 작업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감소 우선순위 및 감소 실행계획서
공 사 팀
평가서 No |
작 업 명 |
감소대책(개선대책) |
실행일정 |
실행부서장 확인 |
비 고 |
||
|
[건축물전기공사] |
|
|
|
|
||
|
슬라브배관 |
-배관자재운반 |
추락:작업발판 및 통로 끝부분에 개구부,안전난간,울,손잡이설치,안전대 착용후작업 낙하:자재 인양에 사클 체결시 사클의 머리핀은 하늘방향으로 체결 |
06-12월 |
현장소장 |
|
|
|
|
-배관작업 |
부상:작업중 바닥의 못 짤림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화는 필히 두꺼운 것을 착용 낙상:개구부 낙상 방지를 위해 합판 등 안전한 개구부 설치 및 위험표시판 설치 |
06-12월 |
현장소장 |
|
|
|
|
-고소배관작업 |
추락:고소작업시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2m이상 높이 시는 추락방지 안전난간 등 방호조치 추락:추락위험장소에서 작업시 안전대 필히 착용 |
06-12월 |
현장소장 |
|
|
|
조적벽체배관-할석작업 |
부상:할석 작업시 작업자는 작업방향에 90도이상 비켜서서 작업 할석 비산 작업시 안전모, 보안경 등 개인보호구 착용 감전:해머드릴을 이용한 작업 중 기계기구 외함 절연 및 절연피복 이상 유무 점검 |
06-12월 |
현장소장 |
|
||
|
배선작업-사다리이용작업 |
추락:사다리 작업시 2인1조 작업(사다리버러짐, 미끄럼방지) 사다리 기둥과 지면과의 각도 75도 이내로 유지 사용 |
06-12월 |
현장소장 |
|
||
|
TRAY설치작업 |
-핸드그라이더 |
감전:누전차단기에서 전원 인출 및 접지후 사용 절단:숫돌의 교체 시기준수 및 사용전 점검 |
06-12월 |
현장소장 |
|
|
|
|
-고속절단기사용 |
절단:절단기 해체사용 엄금 및 법정 방호 장치 화재:보안경 착용 및 불꽃 비산으로 화재 예방(인화물질제거, 소화기비치) |
06-12월 |
현장소장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감소 우선순위 및 감소 실행계획서
공 사 팀
평가서 No |
작 업 명 |
감소대책(개선대책) |
실행일정 |
실행부서장 확인 |
비 고 |
|
[건축물전기공사] |
|
|
|
|
|
케이블포선-풀링작업 |
협착:케이블 풀링시 제반여건을 감안 최대한 작업공간을 확보후 작업 중량물 취급 시 가능한한 하역운반기계 활용하여 작업 |
06-12월 |
현장소장 |
|
|
수배전반설치-단말처리작업 |
혼촉:케이블 단말처리작업시 오결선 방지를 위해 각선로마다 마킹표시 충돌:케이블결선 및 공구 사용 시 주변 돌출부에 충돌하지 않도록 작업 자세에 유의 |
06-12월 |
현장소장 |
|
|
|
표시:특고압 설비의 점검, 수리작업시는 감전 위험 방지를 위해 충전전로에 접근 한계 거리에 표시판(위험) 설치 변전소,개폐소 등 구획되여 있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하고 위험표시등 방호감화 |
06-12월 |
현장소장 |
|
|
가설전기사용 |
감전:정전 작업시 작업자 부주의에 의한 감전 사고 방지를 위해 작업전 안전교육 개폐기 조작 책임자 지정과 검전기, 절연모, 절연장갑 지급 및 착용 접지설비는 각회로마다 구성하고 분전함은 외함접지 또는 절연구조여부 점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작동 상태 점검 후 사용 |
06-12월 |
현장소장 |
|
|
동력 간선 작업 |
고압활선 작업시 안전수칙준수 작업전 작업 내용 및 안전교육 철저히 시행,인지 개인안전장구(절연모, 절연장갑, 휴대용검전기)착용 작업공기구(cos조작봉,y35등) 사용작업 변대승탑 작업시 정전작업 안전수칙 준수(접지-방전-검전) 2차측작업시 1차측 특고압활선 충전선로와 접근 한계거리이상(30cm)유지 |
06-12월 |
현장소장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Email : kangha@daum.net
'문서 및 자료 > 【 문서참고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서관리 절차서 (2) | 2020.12.24 |
---|---|
부가서비스관리절차서 (0) | 2020.12.23 |
부적합품관리절차서 (0) | 2020.12.19 |
구매 및 외주관리 절차서 (0) | 2020.12.15 |
외주부품승인지침서 (0) | 202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