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차계부 V27

설정된 항목별 교환주기에 따라 정비기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계산합니다.
항목별로 비용의 합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자동차의 연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챠트(그래프)를 통해 연비의 향상, 감소 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대장작성} 시트에 입력된 값을 기준으로 값을 계산합니다.
최초{대장작성} 시트의 [샘플삭제] 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샘플이 삭제됩니다.
6행에는 초기 데이터 값(현재의 주행거리 등)을 입력하세요.
메크로 실행 메뉴는 도구의 (추가기능)에 있습니다.




대장작성:
(1) [샘플지우기] 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샘플이 삭제 됩니다.
다른 시트의 일부 삭제되지 않은 부분은 이 시트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분류를
실행하면 제대로 된 값을 나타냅니다.
(2) 처음 작성시 (E6,H6)셀의 값은 반드시 입력 하세요
(3) [차계부_새로작성] ; 현재 작성된 아래부분에 새로 작성할 수 있는 형태가 나타납니다.
1) 10개씩 작성 가능합니다. 그 이상은 다시 한번 더 눌러서 작성하세요.
2) 작성해야할 셀은 노란색으로 변경됩니다.
3) 주행거리 및 연비는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4) 데이터의 작성은 주행거리 순으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주행거리가 위에 작성된 값보다 작으면 입력되지 않습니다.
5) 분류,항목,정비소,주유소는 {설정}시트에 작성된 값을 가져옵니다.
(4) [차계부_작성완료] ; 데이터를 작성하였으면 반드시 눌러 주세요.
(5) [유류단가로 입력] ; 주유량이 아닌 유류단가로 입력할 경우 누르세요.
(6) 새로작성시 나타나는 수식은 입력의 편의를 위해 나타납니다.
값을 직접 입력하여도 됩니다.




차계부:
(1) [차계부_전체내역]을 누르면 이 시트의 값을 계산합니다.
(2) 최종정비의 주행거리는 각 항목별 최종 정비한 주행거리입니다.
(3) 적정 교환주기는 주기적으로 교환이 필요한 부품에 대해서 주행거리를 설정합니다.
(4) 교환주기의 설정은 현재의 주행거리와 비교하여 정비하여야할 잔여 주행거리를 계산합니다.
(5) E, F열에 있는 막대그래프의 길이는 설정된 교환주기를 계산하여 현재 얼마 남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비잔여 주행거리가 0이하 이면 반대쪽으로 빨간색 그래프가 나타납니다.
(6) %는 전체비용중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7) 각 항목별 백분율 값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냅니다.





년간합계:
(1) 여기에 작성되는 각 항목은 {설정}시트에서 우선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2) 당해년도의 월별, 항목별 집계표를 나타내어 전체의 차량관리 비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행연비:
(1) 년도별 및 매월별 주행연비 및 관련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2) 막대그래프는 각 셀에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3) 셀의 높이에 따라 막대그래프의 크기도 조정됩니다.
(4) 입력된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막대 그래프는 각 셀에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분류별:
(1) 대분류 항목으로 지정한 것에 대하여 매월로 값을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2) 입력된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3) 분류별의 막대그래프는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항목별:
(1) 설정한 소항목별로 매월로 데이터를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2) 막대그래프는 항목별로 전체 합계에 대한 그래프 입니다.




설정:
(1) 정비업체, 관련회사, 주유소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정비/관리하는 곳과 주유소는 구분하여 입력하십시오.
(2) 대분류와 소분류를 입력하십시오.
대분류는 우측으로 소분류는 아래쪽으로 값을 추가하여 입력하여도 됩니다.
(3) 각 항목을 입력 하였으면 [설정하기]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또한 항목/값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였을 경우에도 반드시 버튼을 눌러야 다른시트도 함께 변경 됩니다.
(4) 정기적으로 교환하는 부품에 대해서는 교환주기를 설정하세요. (단위:km)



'기타 엑셀자동화 > 【 엑셀차계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관리규정  (3) 2010.10.09
차량이력카드  (2) 2010.08.09
엑셀차계부 V26  (474) 2009.03.17
엑셀차계부 V25  (467) 2009.01.28
엑셀 차계부 V2.4  (506) 2007.04.25
728x90

보온공사지침서

1. 적용범위

이 절차서(Technical Procedure)는 기계설비공사 중 보온공사(시공 및 검사)를 수행하는데 대하여 적용한다.

2. 규격 및 기준

2.1 K.S

2.2 기계설비공사 표준 시방서

2.3 시공지침서

3. 책임과 권한

3.1. 시공담당자는 품질과 관련하여 보온공사를 위해 필요한 모든 준비와 보온공사전체를 수행하고 지도관리할 책임을 가진다.

3.2. 시공담당자는 공사의 완결을 위해 승인되고 관련있는 필요한 모든 서류를 점검하고 검토하여야 한다.

3.3. 시공담당자는 보온공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승인되고 관련있는 필요한 모든 서류를 점검하고 검토하여야 한다.

3.4. 착수후 시공절차와 계획, 필요한 규정을 포함하는 기술적인면의 고려사항과 필요한 다른 조정사항들은 공사착수전에 시공담당자에 의하여 작성되고 검토 되어져야 한다.

3.5. 시공담당자는 제품과 시공에 관련된 시방과 절차 그리고, 도면에 적합하게 수행되었음을 보증하기 위하여 감독관 입회하에 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검사 기록이 포함된 관련 검사용지와 Check List에 확인 서명하여야 한다.

4. 일반사항

4.1 시공담당자는 시방서상의 공종별, 규격별 보온재질과 보온방식에 대하여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고 검사방법과 검사시점을 결정하여야 한다.

4.2 시공담당자는 보온공사 시작전에 보온대상물의 시공이 도면 및 시방에 적합하게 실시되었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4.3 보온 외부마감 색상이 관의 용도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선택되어야 하며 보온마감재의 재질 및 마감방법이 시방에 적합한지 점검하여야한다.

5. 배관보온

5.1 보온재의 재질 및 규격(밀도, 두께, 색상 등)이 배관의 종류, 규격별로 시방에 적합한지 점검하여야 한다.

5.2 방화구획, 방화벽, 기타 법규에 지정된 구획을 통과할 때에는 불연성 보온재가 사용되어야 한다.

5.3 배관보온 중간에 설치되는 밸브, 후렌지, 기타 배관용 부속의 보온은 배관 보온 이상의 보온효과가 있도록 보온되어야 하고 포켓처리를 한다.

5.4 배관을 보온재 내부에서 지지하는 경우는 지지물은 결로방지를 위한 보온을 별도로 하여야 한다.

5.5 배관을 보온재 내부에서 지지하는 경우 보온재가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충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5.6 스리브 통과 부분도 여타부분의 보온 이상의 효과가 있도록 보온되어야 한다.(단열재료 투입등)

5.7 보온외부에서도 배관의 누수를 가능한한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외부누수시 보온재 내부로 침투가 최대한 방지되도록 보온되어야 한다.

5.8 보온과 보냉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는 두께가 큰쪽의 시방을 적용한다.

5.9 냉수관 보온시에는 수분차단을 위한 기밀 시공층이 있어야 한다.

6. 닥트보온

6.1 보온재의 재질 및 규격(밀도, 두께, 색상 등)이 닥트의 종류 규격별로 시방에 적합한지 점검되어야 한다.

6.2 방화구획, 방화벽, 기타 법규에 지정된 구획을 통과 할 때에는 불연성 보온재가 사용되어야 한다.

7. 시공검사 기준

7.1 시공책임자는 시공담당자와 함께 검사 기준서에 준해 검사를 시행한다.

7.2 검사를 시행함에 있어 CHECK LIST를 이용해 기록하고 품질기록관리 절차서에 따라 유지 관리한다.

7.3 부적합 사항은 부적합품관리 절차서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기타 엑셀자동화 > 【 수도쿠퍼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數獨 (SUDOKU) 문제 출제  (4) 2014.10.19
안전보건관리규정  (0) 2010.07.21
당직근무-출입자명부  (0) 2010.06.29
장학금 지급 심사표  (0) 2010.05.30
A/S 처리보고서  (0) 2010.05.28
728x90

사 원

출입자명부

방문객

년 월 일 요일

담 당

관리부장

관리소장

연번

성 명

소 속

(사원)

상 호 명

(방문객)

주민등록번호

(방문객)

출 입 시 간

용 무

행선지/방문처

비 고

'기타 엑셀자동화 > 【 수도쿠퍼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보건관리규정  (0) 2010.07.21
보온공사지침서  (0) 2010.06.30
장학금 지급 심사표  (0) 2010.05.30
A/S 처리보고서  (0) 2010.05.28
사옥관리규정  (0) 2010.04.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