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넷)
장비관리 매뉴얼_냉동고
개 요
장비관리 체크 리스트를 작성 함에 있어 점검부위 및 점검방법을 도식화한 매뉴얼임
온 도
1. 현재온도 기록
가. 검사방법 : 장비가 가동중일 때(제상중이 아닐 때) 현재 온도를 기록한다.
나. 검사 기준 : -5℃±5℃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저장중인 소재 손상 가능성 있음
2) 컴프레셔 고장 가능성 있음
외 관
1. 내/ 외관의 청소상태가 양호한가
가. 검사방법 : 장비 내부, 외부의 정리상태 확인
나. 검사 기준 : 소재 저장과 불출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함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소재 저장과 불출에 방해가 될 수 있음
2. 냉동고 도어의 씰 이상유무
가. 검사방법 : 냉동고 도어의 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나. 검사 기준 : 찢김, 오염 등을 확인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외부공기가 계속 유일되어 냉동불량 가능성 있음
2) 컴프레셔가 과다하게 작동하여 컴프레셔의 고장가능성 있음
3. 냉동고 내부 바닥 파손여부 확인
가. 검사방법 : 냉동고 바닥의 파손을 확인함
나. 검사 기준 : 파맨 바닥면을 보호할 파렛트면의 파손여부 확인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냉동고 바닥 파렛트 손상후 맨바닥면이 손상되면 단열성능이 크게 저하됨
냉각기
1. 냉각기 동작상태 확인
가. 검사방법 : 냉각기 작동여부 육안확인
나. 검사 기준 : 냉각상태일 때 냉각기가 정상적으로 돌아감을 육안으로 확인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저장중인 소재가 상할 우려가 있음
2. 냉각기 FAN 제상여부 확인
가. 검사방법 : 냉각기 내부의 열교환기에 얼음이 얼어있는지 육안으로 확인
나. 검사 기준 : 얼음이 없어야 함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냉각성능 불량으로 온도 유지가 안될 수 있음
3. 냉각기 누수 여부 확인
가. 검사방법 : 냉각기 하단의 배수 호스의 누수 여부 확인
나. 검사 기준 : 호스와 바닥에 얼음이나 물이 없어야함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배수라인이 막히면 차후에 치명적 손상 가능성 있음
4. 문열림 경보기 작동 확인
가. 검사방법 : 설정 시간 이상으로 문을 열고 알림이 울리는지 확인
나. 검사 기준 : 문열림 30초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컴프레셔가 과다하게 작동하여 컴프레셔의 고장가능성 있음
전 기
1. 내부 전등 작동상태 확인
가. 검사방법 : 내부 전등을 조작하여 작동여부를 확인함
나. 검사 기준 : 작동여부 확인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내부 전등이 미점등 되어 불출 편의성이 부족함
2. 냉동고 문열림 센서 작동여부 확인
가. 검사방법 : 냉동고 문을 기준시간 이상 열어두어 센서작동 여부를 확인함
나. 검사 기준 : 20초이상 개방시 작동
다. 부위별 설명
라. 점검불량시 예상 문제점
1) 냉동고 문이 계속 열려있는 상황을 감지하지 못하고 컴프레셔 손상으로 이어짐
Email : kangha@daum.net
'문서 및 자료 > 【 문서참고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QC 7 Tools (0) | 2023.12.08 |
---|---|
4M변경관리규정 (1) | 2023.12.07 |
자재 및 제품관리 프로세스 (5) | 2023.12.02 |
장비관리 매뉴얼_탱크 (4) | 2023.11.27 |
설비 보유현황 및 관리방안 (2) | 202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