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거래내역관리 V28

매일 또는 자주 발생하는 거래건에 대해서 발생시마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월별로 정리하는 개념으로 되어 있습니다.
거래내역으로 작성한 내역은 바로 세금계산서로 출력할 수 있으며, 기간별로 내역을 추려볼 수도 있습니다.
거래내역 및 수금내역의 기간별, 거래처별, 품목별로 거래내역서를 분류할 수 있으며 내역의 집계는 월단위로 계산합니다.
수금액의 입력은 여러건을 한번에 받았더라도 일괄로 입력합니다. 여러건을 합하여 수금을 하게되면 정리자체가 어려웠으나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금입력은 마지막건이 완불이 되지 않으면 납부금액만큼만 입력됩니다. 차후 수금시 이전 받은금액을 합하여 처리합니다.
세금계산서를 작성하고 발행한 세금계산서를 기간별, 거래처별, 품목별로 분류합니다.
세금계산서는 공급받는자 보관용만 작성하면 공급자보관용까지 작성되며, 인쇄는 A4 용지로 하면 됩니다.
내역서 및 세금계산서는 같은번호로 저장을 하면 수정 저장이 됩니다. 작성시 설정된 거래처의 데이터 및 품목/규격의 데이터를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관리대장 및 설정에서의 일부 값을 입력시 중복내용을 체크하여 중복작성을 방지 합니다.
부도처리된 내역은 관리대장 시트에서 별도로 빼내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







관리대장 :
0. 메뉴버튼 : [내역서작성][수금입력][모두보기][업체검색][기간검색][내역삭제][부도처리]
[내역서작성] : 현재의 내용을 {거래내역서} 시트로 작성함
[수금입력] : 수금한 금액을 분할하여 선행내역부터 순차적으로 입력
[모두보기] : 작성된 전체내역을 나타냄
[업체검색] : 거래기간 내 작성된 내역중 업체에 해당내역만 나타냄
[기간검색] : 거래기간 내의 모든 내역을 나타냄
[내역삭제] : 작성된 내역을 삭제
[부도처리] : 부도처리할 내역을 {부도목록}으로 옮기고, {관리대장}에서 삭제
1. (B9:K9)행 이하에 거래내역을 작성하세요.
여기에 작성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거래내역서/세금계산서 등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거래처와 품목은 {설정}시트에 작성되지 않은 거래처/품목을 입력하면 글자의 색깔이 희미하게 표시됩니다.
3. 조건검색의 조건은 (D5)셀-거래업체와 (D6)(E6)셀-거래기간으로 검색합니다.
거래기간의 입력은 우측의 [화살표] 버튼으로 할 수 있으나, 직접 입력하여도 됨
4. 거래대금을 수금하였을 경우 (자동 분할 입력함)
(1)거래업체명(D5셀) 입력
(2)수금액(D7)/일자(E7셀) 입력
(3)[수금입력] 버튼을 누른다.
(4)입금일자가 2회이상으로 분할하여 수금한 경우에는 마지막 날자만 기록합니다. 상세는 {수금목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N열)에 수금완료표시 = "O" , 일부수금표시 = "+" 로 구분합니다.
4. 거래업체별로 찾아보기
(1)거래업체명(D5셀) 입력
(2)거래일자(D6,E6셀) 입력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면 1개월 단위로 입력됩니다)
(3)[조건검색] 버튼을 누른다.
(4)[전체검색] 버튼을 누르면 처음 상태로 전부가 보여집니다.
5. 내역서로 작성하기
(1)거래업체명(D5셀) 입력
(2)거래일자(D7,E7셀) 입력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면 1개월 단위로 입력됩니다)
(3)[내역서작성] 버튼을 누른다.
(4)내역서의 작성번호는 자동으로 부여됩니다. 회사명(2자리)-년월-일련번호
6. 내역을 삭제할 경우 (더 이상의 데이터를 관리할 필요가 없을 경우. 년간단위로 관리하면 좋습니다)
(1)Q열에 "o"를 입력하고 [내역삭제'를 누른다. (전체 행을 선택하여 삭제하여도 됩니다)
(2)거래업체가 부도가 발생하여 수금이 어려운 경우에는 거래업체명(D5셀)을 입력하고,
[부도처리] 버튼을 누르면 해당 거래업체 관련데이터는 {부도목록} 시트로 이동합니다.


거래내역서:
0. 메뉴버튼 : [내역서_저장][내역서_찾기][세금계산서작성]
[내역서_저장] : 작성된 내역서 저장
[내역서_찾기] : 저장된 내역서를 일련번호별로 찾아옴
[세금계산서작성] : 작성된 내역서를 세금계산서로 작성함
1. 거래기간은 [화살표]버튼은 기간이 1개월 단위로 변경됩니다.
2. [화살표] No. 버튼은 일련번호임
3. (C7)셀에서 거래업체를 선택하면 주소/등록번호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옴
4. 거래내역서 작성시는 {관리대장} 시트에서 하면 편리합니다.
5. [내역서_저장]은 작성된 내역을 저장할 경우나 수정하여 저장할 경우에 누른다.
6. [내역서_찾기]는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찾아볼 경우에 사용하며,
찾는 기준은 내역서작성일련번호를 기준으로 찾아 옵니다.


내역서목록:
0. 메뉴버튼 : 없슴
1. {내역서목록} 시트는 {거래내역서} 시트에서 [거래내역서_저장]를 누르면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2. 거래내역의 시작일자와 종료일자를 참고하여 추가 내역서를 작성하세요.
3. 수량과 단가는 거래내역서의 맨 상단(F13:G13)에 있는 값입니다.(참고)


수금목록:
0. 메뉴버튼 : 없슴
1. {내역서목록} 시트는 {거래내역서} 시트에서 [수금입력]을 누르면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부도목록:
0. 메뉴버튼 : 없슴
1. {부도목록} 시트는 {거래내역서} 시트에서 [부도처리]를 누르면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내역분류:
0. 메뉴버튼 : [내역분류][1/4분기][2/4분기][3/4분기][4/4분기][상반기][하반기]
[내역분류] : 검색기간 내의 데이터 검색함
[1/4분기][2/4분기][3/4분기][4/4분기] : 분기별 데이터 검색함
[상반기] [하반기] : 반기별 데이터 검색함
1. 내역구분(E3셀)에서 수금내역/미수금내역/거래내역을 선택합니다. 거래내역=수금내역+미수금내역
2. 분류구분(G3셀)의 기간별/거래처별/품목별을 선택하세요.
내역구분과 분류구분은 AND조건입니다.(~이고 ~인 것)
품목별 및 거래처별의 경우에는 거래처, 품목별로 합계를 계산합니다.
3. 기간(i3~J3셀)을 입력하세요. 기간내의 모든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1/4분기][2/4분기][3/4분기][4/4분기][상반기][하반기]를 클릭시는 기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년도는 (C3)셀의 년도입니다.

내역통계:
0. 메뉴버튼 : [통계보기]
[통계보기] : 거래업체별 월별 합계금액을 나타냅니다.
1.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해당년도를 선택하세요






세금계산서:
0. 메뉴버튼 : [내용찾기][저장하기][새로작성][인쇄하기][삭제하기]
[품목규격_입력제한][품목규격_제한해제][합계로_입력][제출용파일로_저장]
[내용찾기] : 이미 작성된 세금계산서를 일련번호(책번호)로 찾아옴
[저장하기] : {세금계산서}시트의 작성된 내용을 저장
[새로작성] : 세금계산서를 새로 작성할 수 있는 상태
[인쇄하기] : 내용을 A4에 인쇄
[삭제하기] : 저장된 내용을 삭제함
[품목규격_입력제한] : 품목/규격 란의 작성시 {설정}시트에서 정한 품목만 나타남
[품목규격_제한해제] : 품목/규격 란의 작성시 품목/규격을 자유로이 작성가능
[합계로_입력] : 단가로 입력하지 않고 합계(부가세포함된)로 입력할 경우
[제출용파일로_저장] : 현재의 내용을 {세금계산서} 시트만 다른파일로 저장
1. 세금계산서를 작성, 수정, 찾기,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공급받는자보관용"만 작성 하십시오. 시트보호 되어 있어서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셀은 클릭되지 않습니다.
3. 공급받는자는 상호(U6셀)만 입력하시면 나머지 데이터(번호,주소,대표자,업태,종목 등)는 자동으로 찾아 옵니다.
4. 작성일자와 품목,수량,단가,금액만 입력하십시오. {설정} 시트에서 단가를 입력하였다면 단가는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금액 입력시 [합계로_입력]을 선택하면 부가세포함된 금액으로 입력 가능합니다.
5. "청구", "영수"를 선택하십시오!!!!!!!
6. 만약 세율이 "영세율"일 경우에는 비고란(AB11셀)에 "영세율" 입력
7.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의 설정은 {설정} 시트에서 하여야 합니다.
8. 입력 내용을 모두 작성 후에는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야 {저장}시트에 저장됩니다.
9. [새로작성] 버튼을 누르면 일련번호는 목록에 저장된 다음 번호로 자동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10.[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저장된 데이터를 찾아 옵니다.
11.[품목규격_입력제한]을 누르면 품목과 규격의 입력은 {설정}시트에 입력된 값만 사용할 경우이고,
[품목규격_제한해제]는 품목과 규격을 직접 입력할 경우이다.


계산서분류:
0. 메뉴버튼 : [계산서분류][1/4분기][2/4분기][3/4분기][4/4분기][상반기][하반기]
[계산서분류] : 검색기간 내의 데이터 검색함
[1/4분기][2/4분기][3/4분기][4/4분기] : 분기별 데이터 검색함
[상반기] [하반기] : 반기별 데이터 검색함
1. 분류구분(G3셀)의 기간별/거래처별/품목별을 선택하세요.
내역구분과 분류구분은 AND조건입니다.(~이고 ~인 것)
품목별 및 거래처별의 경우에는 거래처, 품목별로 합계를 계산합니다.
2. 기간(i3~J3셀)을 입력하세요. 기간내의 모든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1/4분기][2/4분기][3/4분기][4/4분기][상반기][하반기]를 클릭시는 기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년도는 (C3)셀의 년도입니다.

계산서목록:
0. 메뉴버튼 : [번호별][발행품목별]
[번호별] : 작성된 일련번호 순으로 나타냅니다.
[발행품목별] : 세금계산서에 작성된 각 품목별로 전부 나타냅니다.


설정:
0. 메뉴버튼 : [설정하기][샘플삭제]
[설정하기] : 입력한 내용을 각 시트에 뿌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샘플삭제] : 현재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1. 사용자(공급자), 거래처(공급받는자) 및 제품, 규격, 단가의 내용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사용자(공급자) : 4행(C4:H4셀)에 입력
거래처(공급받는자) : 6행 이하(C6:H999셀)에 입력
주거래처를 윗쪽에 작성하면 입력시 편리합니다.
2. 이 시트에 입력하여야만 세금계산서 시트에서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3. 샘플삭제 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샘플을 모두 삭제합니다. 버튼도 함께 삭제합니다.
4. 여기에 작성된 단가는 품명, 규격을 파악하여 세금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규격을 입력할 경우에는 반드시 품명이 입력되어야 합니다.


'기타 사무자동화 > 【 거래내역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내역관리V29  (2) 2012.02.14
거래사실 확인서  (2) 2011.08.22
거래명세서  (4) 2010.02.03
거래내역 및 수금관리  (4) 2009.12.11
거래계약서 (무료다운로드)  (6) 2009.07.05
728x90

TOWER CRANE 검사기준

검사항목

검사내용

판정기준

1) 외관

(1)지브 회전반경별 정격하중 표시를 검사한다.

(1)운전자 및 훅크걸이를 하는 사람이 보기 쉬운 장소에 정격하중을 표시한 판이 부착되어 있을 것

(2)크레인에 부착되는 난간대(Handrail), 및 수직 사다리 및 보도의 상태를 검사한다.

(1)난간의 높이는 90㎝이상이며, 견고한 구조일 것

(2)난간은 중간대와 보도면으로부터 높이 3㎝이상의 덛 판(toe plate)이 설치되어 있을 것

(3)수직사다리는 길이가 15m를 초과하는 경우 10m 이내 마다 쉼발판이 설치되어 있을 것

(4)수평지브에는 폭 40cm이상의 보도가 전길이에 설치되 어 있을 것

2)설치고정상태

(1)앵커볼트의 고정상태, 휨 및 부식변형 유무를 검사한다.

(1)스패너 등으로 확인하여 체결상태가 적정일 것

(2)앵커볼트의 현저한 휨 및 변형이 없을 것

(2)기초상태 및 부동 침하 유무를 검사한다.

(1)기초는 받침을 써서 견고한 구조로 되어 있을 것

(2)기초의 바닥면은 부동침하 없이 평탄하여 무너짐이나 벌어짐이 없을 것

1) 마스트 및

지브

(MAST & JIB)

(1)마스트 및 지브의 전길이에 걸쳐 직진도 및 래티스(Lattices)의 상태를 검사한다.

(1)비틀림, 굴곡, 휨 등이 없을 것

(2)타워/지브(펜던트부 및 지브 연결부)의 고정용 보울트의 체결상태를 검사한다.

(1)조립연결용 보울트/너트는 이중 너트 기타 풀림 방지 조치가 양호할 것

(3)클라이밍(Climbing) 장치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 다

(1)유압 잭(Jack) 등의 작동이 정상이며, 마스트(Mast) 상승이 균형을 유지할 것

검사항목

검사내용

판정기준

(4)선회링 주위의 비틀림이나 균열에 대하여 검사 한다

(1)비틀림, 균열이 없을 것

2) 용접상태

(1)마스트, 지브 및 펜던트(Pendant) 등의 검사 가 능 부위의 용접상태를 검사한다

(1)육안으로 검사하여 균열(Crack)이 없을 것

(2)육안으로 검사하여 판정이 곤란한 곳은 액체침 투탐 상검사(P.T)를 적용한다. 검사방법은 침투액을 도포 후 20분, 다음 현상액을 도포후 10분 경과시 균열 등 이상이 없을 것 (단, 이상발견시 2차로 초음파탐상검 사(U.T)또는 X-RAY검사(R.T)를 적용할 것

1)트롤리 주행

장치

(1)주행전동기, 감속기 부착 보울트의 풀림 유 무를 검사한다

(1)풀림이 없을 것

(2)구동축 연결 커플링의 체결 및 마모의 상태 를 검사한다

(1)풀림, 마모가 없을 것

(3)트롤리 주행 리미트 스위치 (최대 안쪽&바깥쪽) 위치의 작동상태를 검사한다

(1)한계위치 접근시 부저가 울리어 작동상태가 양호할 것

2)와이어로우프

(1)직경의 감소를 검사한다

직경 공칭지름-측정지름

감소율= 󰠏󰠏󰠏󰠏󰠏󰠏󰠏󰠏󰠏󰠏󰠏󰠏󰠏󰠏󰠏󰠏󰠏󰠏󰠏󰠏󰠏󰠏󰠏󰠏󰠏 x 100

(%) 공칭지름

(1)직경의 감소는 공칭지름의 7% 미만일 것

󰠆󰠏󰠏󰠏󰠏󰠏󰠏󰠏󰠏󰠏󰠏󰠏󰠏󰠏󰠏󰠏󰠇󰠏󰠏󰠏󰠏󰠏󰠏󰠏󰠏󰠏󰠏󰠏󰠏󰠏󰠏󰠏󰠇󰠏󰠏󰠏󰠏󰠏󰠏󰠏󰠏󰠏󰠏󰠏󰠏󰠏󰠏󰠈

󰠐 공칭지름 󰠐 측정지름 󰠐 감 소 율 󰠐

󰠉󰠏󰠏󰠏󰠏󰠏󰠏󰠏󰠏󰠏󰠏󰠏󰠏󰠏󰠏󰠏󰠊󰠏󰠏󰠏󰠏󰠏󰠏󰠏󰠏󰠏󰠏󰠏󰠏󰠏󰠏󰠏󰠊󰠏󰠏󰠏󰠏󰠏󰠏󰠏󰠏󰠏󰠏󰠏󰠏󰠏󰠏󰠋

󰠐 󰠐 󰠐 󰠐

󰠐 󰠐 󰠐 󰠐

󰠐 ㎜ 󰠐 ㎜ 󰠐 % 󰠐

󰠐 󰠐 󰠐 󰠐

󰠌󰠏󰠏󰠏󰠏󰠏󰠏󰠏󰠏󰠏󰠏󰠏󰠏󰠏󰠏󰠏󰠍󰠏󰠏󰠏󰠏󰠏󰠏󰠏󰠏󰠏󰠏󰠏󰠏󰠏󰠏󰠏󰠍󰠏󰠏󰠏󰠏󰠏󰠏󰠏󰠏󰠏󰠏󰠏󰠏󰠏󰠏󰠎

(1)소선의 절단 수를 검사한다

(1)한꼬임에서 소선수의 10%이상이 절단되지

않을 것

(2)킹크(꼬임)현상 및 부식유무를 검사한다

(1)킹크현상 발생 및 현저한 부식이 없을 것

검사항목

검사내용

판정기준

(4)와이어 로우프의 여유 감김 수를 검사한다

(1)훅크가 최하단에 달했을 때 드럼에

최소한 2바퀴 이상 남아 있을 것

(5)와이어로우프의 단말고정 상태를 검사한다

(1)클립에 의한 와이어로우프 단말고정시

다음에서 요구하는 개수를 채울 것

󰠆󰠏󰠏󰠏󰠏󰠏󰠏󰠏󰠏󰠏󰠏󰠏󰠏󰠏󰠏󰠏󰠏󰠏󰠏󰠏󰠏󰠏󰠏󰠏󰠇󰠏󰠏󰠏󰠏󰠏󰠏󰠏󰠏󰠏󰠏󰠏󰠏󰠏󰠏󰠏󰠏󰠏󰠏󰠏󰠈

󰠐 로우프직경(㎜) 󰠐 클 립 수 󰠐

󰠉󰠏󰠏󰠏󰠏󰠏󰠏󰠏󰠏󰠏󰠏󰠏󰠏󰠏󰠏󰠏󰠏󰠏󰠏󰠏󰠏󰠏󰠏󰠏󰠊󰠏󰠏󰠏󰠏󰠏󰠏󰠏󰠏󰠏󰠏󰠏󰠏󰠏󰠏󰠏󰠏󰠏󰠏󰠏󰠋

󰠐 16 이하 󰠐 4개 󰠐

󰠐 28 이하 󰠐 5개 󰠐

󰠐 28 초과 󰠐 6개 (최소) 󰠐

󰠌󰠏󰠏󰠏󰠏󰠏󰠏󰠏󰠏󰠏󰠏󰠏󰠏󰠏󰠏󰠏󰠏󰠏󰠏󰠏󰠏󰠏󰠏󰠏󰠍󰠏󰠏󰠏󰠏󰠏󰠏󰠏󰠏󰠏󰠏󰠏󰠏󰠏󰠏󰠏󰠏󰠏󰠏󰠏󰠎

3)훅크

(1)훅크의 해지장치 설치유무를 검사한다

(1)와이어로우프 이탈방지용 해지장치는 견고히 설치되 어 있을 것

(2)훅크(개구부)의 변형상태를 검사한다

(1)훅크 개구부의 변형이 없어야 하며, 국부 마모에 의 한 사용한도는 원치수의 5% 이내일 것

4)시브

(1)시브의 고정상태를 검사한다

(1)고정틀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을 것

(2)와이어로우프가 시브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일 것

(2)파손, 균열, 변형 등의 검사를 한다

(1)파손, 균열, 변형 등의 결함이 없을 것

(2)시브의 마모를 검사한다

(1)시브 홈부의 마모한도는 와이어로우프 직경의 20% 이내일 것

1)선회후레임 및 브라켓

(1)균열 및 변형의 유무 조사

(1)균열, 변형이 없을 것

2)선회장치

(1)선회시 이상음 및 발열유무를 검사한다

(1)이상음, 발열이 없을 것

3)카운터

웨이트

(1)카운터 웨이트의 무게를 검사한다

(1)규정의 무게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있을 것

검사항목

검사내용

판정기준

4)캡

(Cab,운전실)

(1)도어의 개폐상태, 록크 및 키의 이상유무를 검사 한다

(1)도어의 록크 등 이상이 없을 것

(2)제어장치의 방향표시를 검사한다

(1)방향표시가 선명할 것

(2)하중이동과 제어장치의 방향표시가 일치할 것

5)연결구 및

고 정 구

(1)상부선회체의 각 부분의 연결핀, 볼트

및 너트의 체결상태를 검사한다

(1)풀림이 없이 정확하게 체결되어 있을 것

1)방호장치

(1)권과(과다감김) 방지장치를 검사한다

(1)권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동력을 차단하고 작동을 제동하는 기능를 가질 것

(2)훅크 등 달기기구 상부와 접촉우려가 있는 시브, 크 래브(Crab) 하부와의 간격이 최소 25Cm이상(직동식의 권 과 방지장치에 있어서는 5Cm 이상) 일 것

(2)과부하 방지장치를 검사한다

(지브 반경 회전운동에 따른 하중초과 방지)

(1)모우멘트 과부하 차단 스위치(Moment over load cut out switch) 및 권상 과부하 차단스위치(Hoist over load cut out switch)의 작동상태가 정상일 것

(2)정격하중의 1배 이내 초과하중 적재시 경보와 함께 작동이 정지될 것

1)권상시험

(1)지브 끝단에서 정격하중의 하물을 권상하여 권 상능력을 시험한다

(1)권상능력이 양호할 것

(2)정격하중의 하물을 달고 브레이크 작동, 제동 능력을 시험한다

(1)제동능력이 양호할 것

2)선회시험

(1)권상한 하물을 달고 선회시켜 선회 능력을 시험 한다

(1)선회능력이 양호할 것

(2)정격하중의 하물을 달고 브레이크의 제동능력을 시험한다

(1)브레이크 능력이 양호할 것

검사항목

검사내용

판정기준

1)배선및스위치

(1)스위치 정격용량을 검사한다

(정격전류, 정격전압, 정격주파수)

(1)과전류 보호용 차단기 또는 퓨우즈가 있을 것

해당 전동기의 정격 전류에 대하여 차단기는 250%, 퓨우즈는 300% 이하의 정격 전류일 것

(2)공급전압을 측정한다

(1)정격전압의 ±10% 이내일 것

(3)배선 피복상태, 지지기구를 검사한다

(1)손상, 파손, 탄화부분이 없을 것

(4)전기부품, 배선 및 배전반 등의 절연저항 상태 를 검사한다

(1)배선 절연저항은

대지전압 150V 이하 0.1㏁

사용전압 400V 이하 0.2㏁ 이상일 것

사용전압 400V 초과 0.4㏁

(5)전기기기의 외함의 어스 및 접지저항 상태를 검 사한다

(1)접지가 양호하고

(2)접지저항은

400V 이하 100Ω 이하 일 것

400V 초과 10Ω

(6)해당시 피뢰설비 및 접지저항 상태를 검사 한다

(1)접지가 되어 있고 접지저항은 10Ω이하 일 것

(7)신호용의 부저, 램프의 작동상태를 검사한다

(1)이상없이 작동할 것

2)전동기

(1)절연저항 상태를 검사한다

(1)절연저항[사용전압(V)/(1,000+㎾)]㏁ 이상일 것

(2)운전상태를 검사한다

(2)이상음, 이상발열이 없을 것

(3)해당시, 슬립링 브러시 피그테일 부분을 검사한 다

(1)슬립링은 변색, 흠집이 없고 리드선 접촉단자의 풀림 이 없을 것

(2)브러시는 마모가 없고, 눌림 압력이 적정하여야 하 며, 카본분 등의 부착이 없고 불꽃 발생이 없을 것

(3)피그테일 체결부분은 풀림이 없을 것

검사항목

검사내용

판정기준

3)조명및신호등

(1)우전실내 조명상태를 검사한다

(1)운전석에서 조명상태는 운전에 지장이 없을 것

(2)신호등(경보등, 항공장애 등) 상태를 검사한다

(1)신호등은 전구의 파손, 파손방지용 가드의 어긋남 등의 이상이 없을 것

(3)야간작업용 조명장치를 검사한다

(1)작동상태가 양호할 것

4)집전장치

(1)선회부의 슬립링을 검사한다

(1)청소상태가 양호하고 소손이 없을 것

5)저항기

(1)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용으로 사용된 저 항기를 검사한다

(1)그리드는 균열, 손상 등의 이상이 없어야 하고, 그 리드 상호간의 접촉이 없고 체결부분은

풀림이 없어야 한다

(2)단자부근 부속 배선부분 및 절연피복의 과열에 의한 열화가 없어야 하며 절연물 위에 분진 등이 없을 것

6)배전반

(1)차단기 및 개폐기를 검사한다

(1)배선용 차단기의 개폐 작동부는 부착부에 풀림이 없 고 개폐가 원활하며 몰드는 파손이 없을 것

(2)나이프형 개폐기의 접촉부는 거칠음이 없고 힌지 및 클립 접촉 압력이 적정할 것

(2)전자 접촉기를 검사한다

(1)전자접촉기의 가동철심은 흡착면에 이물질의 부착이 없고 소음 및 떨림이 없을 것

(3)계전기를 검사한다

(1)계전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

(4)접지상태를 검사한다

(1)접지상태가 양호할 것

728x90

담 당

과 장

부 장

설비(☑수리 □보수)의뢰서

󰠲󰠲󰠲󰠲󰠲󰠲󰠲󰠲󰠲󰠲󰠲󰠲󰠲󰠲󰠲󰠲󰠲󰠲󰠲󰠲󰠲󰠲󰠲󰠲

문 서 번 호

97-13

CODE 번 호

951-0203-94W1

설 비 명

OSCLLOSCOPE(5506)

제 조 원

흥 창 물 산

의 뢰 일 자

97 . 5 . 22

의 뢰 부 서

생 산 부

완료 희망 일자

97 . 5 . 30

의 뢰 인

□수리내용 □보수내용 SER. No. 604101

․ FOCUS 조 정 불 량

의 뢰 인 : 97. 5 .23 금 고객지원

완료- 인수일 :

상기와 같이 설비를(☑수리 □보수)해 주실 것을 의뢰합니다.

1997년 5월 22일

'기타 사무자동화 > 【 장 비 관 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비 임차 계약서  (3) 2011.05.27
설비관리입력카드  (2) 2011.05.19
설비점검기록표  (2) 2011.04.14
장비관리규정  (3) 2011.03.20
설비관리대장  (2) 2011.02.18

+ Recent posts